약물의 과학: 신약 개발부터 부작용까지, 약에 대한 모든 것
이 글의 오버뷰 오디오 입니다
꼭!! 재생하고 읽어보세요
챕터 1: 약, 그 양날의 검 - 인류의 오랜 동반자
1.1. 약, 독, 그리고 그 경계선
약물은 인류의 역사와 궤를 같이하며 때로는 구원자로, 때로는 치명적인 독으로 작용해왔습니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버드나무 껍질을 빻아 통증 완화에 사용했는데, 이는 오늘날 아스피린의 주요 성분인 살리실산의 원천이기도 합니다. 이처럼 인류는 오랜 시행착오를 통해 약효가 있는 물질을 발견하고 그 사용법을 터득해왔습니다. 현대 의학은 이러한 경험적 지식을 넘어, 약물의 본질을 과학적으로 탐구하여 그 양면성을 정밀하게 통제하려는 시도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약물의 본질적인 특성은 그 양면성에 있습니다. 약물이란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이지만, 동시에 의도하지 않은 부작용 또한 가지고 있습니다. 러시아의 신비주의자 라스푸틴이 말한 "약은 독이고 독은 약이다"라는 역설적인 표현은 바로 이 약물의 양면성을 간결하게 보여줍니다. 동일한 물질이라도 용량과 용법에 따라 치료제가 될 수도, 독극물이 될 수도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약물 사용의 핵심은 기대되는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해진 용법과 용량을 정확히 준수하는 데 있습니다. 이 경계선을 정확히 파악하고 통제하는 것이 현대 약물 과학의 가장 중요한 목표이며, 이는 약물이 인체 내에서 어떻게 작용하고 이동하는지에 대한 깊은 이해를 요구합니다.
챕터 2: 보이지 않는 여정 - 약물의 과학적 작용 기전
2.1. 약동학(Pharmacokinetics, PK): 몸이 약에게 미치는 영향
약물이 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먼저 인체 내에서 의도된 경로를 따라 이동해야 합니다. 약동학(Pharmacokinetics, PK)은 이처럼 "몸이 약에게" 미치는 영향, 즉 투여된 약물이 몸속에서 흡수(Absorption), 분포(Distribution), 대사(Metabolism), 배설(Excretion)되는 과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분석하는 학문입니다. 이 네 가지 과정의 영문 앞글자를 따서 'ADME'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흡수(Absorption): 약물이 투여된 부위에서 혈류로 들어가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경구 투여된 약물은 주로 위와 소장에서 흡수되며, 이 과정에서 약물의 물리화학적 특성(예: 이온화되지 않은 성질)과 위장관의 환경(예: pH)이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경구 투여된 약물은 위와 장을 거쳐 간으로 이동하면서 '초회통과효과(First-pass Metabolism)'라는 대사 과정을 겪을 수 있으며, 이는 전신 순환계에 도달하는 약물의 양(생체이용률)을 감소시킵니다. 정맥 주사(IV)의 경우 이 과정이 생략되므로 약물이 즉시 혈류에 도달합니다.
분포(Distribution): 혈류에 흡수된 약물이 신체 각 조직으로 퍼져나가는 과정을 말합니다. 약물의 지용성(lipophilicity)은 세포막을 얼마나 잘 통과하는지 결정하며, 약물이 혈장 단백질과 얼마나 결합하는지도 중요한 요인입니다. 혈장 단백질에 결합된 약물은 혈관 밖으로 나가지 못하므로, 조직에 들어가 작용할 수 있는 '자유약물(free drug)'의 양이 줄어들어 분포가 제한됩니다.
대사(Metabolism): 대부분 간에서 효소에 의해 약물의 화학 구조가 변화하는 과정으로, 주로 약물을 비활성화하고 수용성(water-solubility)을 높여 배설이 용이하도록 만듭니다. 이 과정은 약물의 효과를 중단시키거나 독성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배설(Excretion): 약물이 신체 밖으로 제거되는 과정으로, 주로 신장을 통해 소변으로 배출되지만, 담즙, 호흡 등을 통해서도 배설됩니다.
약동학은 단순히 약의 경로를 추적하는 학문을 넘어, 신약 개발의 성공을 좌우하는 핵심적인 분야로 간주됩니다. 많은 신약 후보 물질이 임상 시험에 실패하는 가장 흔한 이유는 불만족스러운 약동학적 특성, 즉 효과적인 ADME 과정을 거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약동학적 특성을 통해 특정 조직에서 약물의 농도를 예측하고 조절할 수 있어야만, 다음 단계인 약력학적 작용을 성공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2.2. 약력학(Pharmacodynamics, PD): 약이 몸에 미치는 영향
약력학(Pharmacodynamics, PD)은 "약이 몸에게" 미치는 영향, 즉 약물이 인체 내에서 어떤 효과를 나타내는지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대부분의 약물은 세포 표면이나 내부에 존재하는 특정 단백질인 '수용체(Receptor)'와 결합하여 작용합니다. 이 상호작용은 마치 '열쇠가 자물쇠에 맞는' 것처럼 특정한 3차원 구조에 의해 매우 선택적으로 일어납니다.
약물은 수용체와의 상호작용 방식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됩니다 :
작용제(Agonist): 인체의 천연 물질(예: 호르몬, 신경전달물질)과 유사하게 수용체에 결합하여 세포의 기능을 자극하거나 활성화하는 약물입니다. 뛰어난 친화력과 내재 활성으로 인해 강한 약효를 유발합니다. 예를 들어, 진통제인 모르핀은 엔도르핀과 동일한 뇌의 수용체에 작용하여 통증을 완화시킵니다.
길항제(Antagonist): 수용체에 결합하지만 활성화시키지 않고, 대신 작용제가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방해하여 그 효과를 차단하는 약물입니다. 주로 과도한 생리적 반응을 조절하거나 특정 신호를 억제하는 데 사용됩니다.
약력학의 핵심 개념 중 하나는 '선택성(selectivity)'입니다. 약물은 표적 부위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할수록 부작용이 적지만, 일부 약물은 '마스터 키'처럼 여러 종류의 수용체에 결합하여 다양한 조직이나 기관에 영향을 미치기도 합니다. 이러한 '비선택성'이 바로 약물의 부작용이 발생하는 근본적인 생물학적 원인입니다. 예를 들어, 소화기계에서도 발견되는 특정 수용체에 작용하는 약물이 위장관 활동에 영향을 미쳐 오심이나 설사와 같은 부작용을 유발하는 것입니다.
챕터 3: 성공률 0.01%의 도전 - 신약 개발의 거대한 여정
3.1. 희망을 좇는 긴 여정: 신약 개발의 단계별 과정
하나의 새로운 약물이 탄생하기까지는 천문학적인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지난한 과정을 거칩니다. 신약 개발은 크게 연구(Research)와 개발(Development) 단계로 나뉩니다.
연구 단계 (Discovery): 수많은 후보 물질 중에서 질병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물질을 선별하는 단계입니다. 이 과정에서 10,000개가 넘는 후보 물질이 탐색되지만, 비임상 시험으로 넘어가는 것은 평균적으로 250개에 불과합니다.
비임상 시험 (Pre-Clinical): 사람에게 투여하기 전, 동물 실험을 통해 후보 물질의 안전성, 독성, 약효, 그리고 체내 동태(PK)를 평가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는 비용이 많이 드는 임상 시험에 진입하기 전에 실패 가능성이 높은 물질을 미리 걸러내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 과정을 통과하는 물질은 평균적으로 5개 정도입니다.
임상 시험 (Clinical Trial):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시험으로, 1상, 2상, 3상으로 나뉘며 전체 개발 비용의 약 63%를 차지하는 가장 중요하고도 어려운 단계입니다.
1상 시험: 소수의 건강한 지원자(20-80명)를 대상으로 약물의 안전성을 집중적으로 평가하고, 인체 내 약물 흡수 정도를 파악하여 안전한 투여 용량을 결정합니다.
2상 시험: 소규모 환자(100-200명)를 대상으로 약물의 효능과 부작용을 탐색하고, 최적 용량을 결정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는 실패율이 가장 높아 단지 25%만이 다음 단계로 진입합니다.
3상 시험: 수백에서 수천 명에 이르는 대규모 환자를 대상으로 약물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최종적으로 검증하며, 기존 치료제와 효능을 비교합니다.
시판 후 조사 (4상): 신약이 시판된 이후에도 장기간에 걸쳐 약물의 효능, 부작용 및 상호작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합니다.
이처럼 하나의 신약이 탄생하기 위해서는 10,000개 이상의 후보 물질이 경쟁하고 수많은 실패를 거듭해야 합니다. 이러한 막대한 실패율과 비용은 신약 개발의 난이도를 극명하게 보여주며, 이는 신약의 가격이 높을 수밖에 없는 경제적 배경을 형성합니다.
3.2. 저분자 화합물 vs. 바이오의약품: 두 개의 축
현대 의약품 시장은 화학적 합성을 통해 만들어지는 저분자 화합물과 생물체를 활용하는 바이오의약품이라는 두 개의 큰 축으로 나뉩니다.
저분자 화합물은 상대적으로 단순한 분자 구조를 가지고 있어 화학적으로 동일한 복제약(제네릭)을 만드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바이오의약품은 미생물이나 동물세포를 '배양'하여 만드는 고분자의 복잡한 단백질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오리지널과 완전히 동일한 복제약을 만드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이러한 특수성으로 인해 바이오의약품의 복제약은 '동일하지는 않지만 유사하다(similar)'는 의미의 '바이오시밀러(Biosimilar)'라는 별도의 개념으로 불립니다. 바이오시밀러는 오리지널과 다른 제조 공정을 거치지만, 임상 실험을 통해 생물학적으로 거의 동일한 효과를 낸다는 '동등성 인증'을 받아야 시판될 수 있습니다.
3.3. 미래 신약 개발의 나침반: AI와 정밀의학
신약 개발의 높은 실패율과 막대한 비용이라는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공지능(AI) 기술이 신약 개발 전반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AI는 후보 물질 발굴 단계에서 수십억 개의 화합물 데이터를 분석하여 개발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고, 임상 시험 설계와 환자 데이터 분석을 최적화하여 전체 개발 과정의 효율을 높입니다.
또한, 미래 의학의 핵심은 환자의 유전 정보(DNA)를 분석하여 개인에게 최적화된 치료법을 제공하는 '정밀의학(Precision Medicine)' 또는 '개인 맞춤형 의약품'에 있습니다. 이 접근법은 특정 유전자 변이를 가진 환자가 특정 약물에 더 잘 반응하거나 부작용 위험이 높을 수 있다는 점을 활용합니다. AI는 방대한 유전체 및 임상 데이터를 통합 분석하여 이러한 정밀의학의 실현을 가속화하는 핵심 도구입니다. 이는 약물의 과학을 단순히 질병 치료에 적용하는 것을 넘어, 환자 개개인의 특성까지 고려하여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고 있습니다.
챕터 4: 약물의 그늘과 빛 - 부작용의 이해와 내성 극복의 해법
4.1. 예기치 못한 반응: 부작용의 과학적 원인
부작용은 단순히 운이 나빠서 발생하는 현상이 아니라, 과학적 원리에 기반한 예측 가능한 반응입니다. 부작용의 주요 원인들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약물의 비선택성: 약력학적 작용에서 언급했듯이, 약물이 표적 수용체 외에 다른 조직의 수용체에도 작용할 때 부작용이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폐암 표적치료제인 오시머티닙(타그리소)은 특정 유전자 변이를 가진 폐암에 효과가 있지만, 피부나 위장관 등에도 영향을 미쳐 발진이나 설사 같은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약물 상호작용: 두 가지 이상의 약물을 동시에 복용할 때, 한 약물이 다른 약물의 흡수, 분포, 대사, 배설 과정에 영향을 미쳐 약효를 변화시키거나 독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항생제인 리팜핀은 경구 피임제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를 활성화시켜 피임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하루 5가지 이상의 약물을 복용하는 '다약제 복용'은 부작용 발현 빈도를 현저히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개인의 유전적 요인: 약물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의 유전적 다형성(Genetic Polymorphism)에 따라 약물 반응이 개인별로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약물유전체학(Pharmacogenomics)은 이러한 유전적 차이가 약효와 부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며, 특정 유전자 변이가 있는 환자는 약물 대사 속도가 느려져 동일 용량에도 약물의 독성이 축적될 수 있습니다. 이는 특정 약물 사용 전 유전자 검사를 통해 용량을 조절해야 하는 정밀의학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4.2. 인류의 난제, 약물 내성: 항생제와 항암제를 중심으로
약물 내성은 약물이 더 이상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현상으로, 인류 보건에 심각한 위협을 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항생제 내성균의 출현은 공중 보건의 중대한 과제이며 , 항암제 내성은 암 치료의 성공을 가로막는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항암제 내성은 암세포가 약물에 저항하는 다양한 생물학적 기전을 발달시키면서 발생합니다 :
새로운 유전자 돌연변이: 표적치료제가 특정 유전자를 공격할 때, 암세포는 약물의 표적 부위를 회피하는 새로운 유전자 돌연변이를 일으킵니다.
보조 신호경로 활성화: 암세포는 주된 표적 신호경로가 차단되면, 세포 생존을 위한 다른 우회 신호경로를 활성화하여 약물 작용을 무력화합니다.
약물 배출 펌프의 과발현: 암세포는 약물을 세포 밖으로 퍼내는 단백질 펌프를 과도하게 발현시켜, 약물이 세포 내에 충분한 농도로 머무르지 못하게 만듭니다.
이처럼 암세포는 단일 표적을 공격하는 치료법에 대해 복잡한 진화적 저항 기전을 보입니다.
4.3. 내성 극복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과 미래 전망
약물 내성이라는 난관에 맞서기 위해 과학자들은 다양한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다중 표적 접근법: 단일 표적에만 의존하는 치료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여러 표적을 동시에 공격하거나 서로 다른 기전의 약물을 병용하는 '병용요법(Combination Therapy)'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최근 주목받는 이중항체(Bispecific Antibody)는 하나의 약물이 두 개의 다른 표적을 동시에 공격하도록 설계되어 기존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시도입니다.
새로운 치료 모달리티: 단순히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는 것을 넘어, 환자 본연의 면역체계를 활성화하여 암세포를 제거하도록 돕는 '면역관문 억제제'와 같은 면역 항암제가 새로운 표준 치료법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또한, '항체-약물 접합체(ADC)'는 항체가 암세포만을 찾아가 약물을 정확히 전달함으로써, 정상 세포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부작용을 낮추는 차세대 정밀 타격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복합적 연구 개발: 항생제 내성 문제 해결을 위해 국가 차원에서 항생제 적정 사용, 내성균 확산 방지, 그리고 연구 개발 확충을 포함한 종합적인 관리대책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또한, 천연물 유래 물질이나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진단 기술 등을 활용하여 내성을 극복하려는 다각적인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약물 내성 문제는 더 이상 단순한 약물 개발만으로는 해결될 수 없는 복잡한 과제이며, '다중 표적' 및 '융합 치료'와 같은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혁신은 결국 약물의 양면성을 더 정교하게 통제하고, 환자 개인에게 최적화된 치료를 제공하는 정밀의학의 발전으로 이어질 것입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